2025년 1차 신혼·신생아·청년 매입임대주택 예비입주자 모집 시작! 시세 대비 저렴한 임대료, 최대 20년까지 안정 거주 기회 확인하세요.

전국 16개 시도 동시모집, 자격조건·임대조건 완벽 정리
주거비 부담은 덜고, 안정적인 보금자리를 찾는 신혼부부, 신생아 가구, 청년들을 위한 희소식이 도착했습니다!
2025년 1차 신혼·신생아·청년 매입임대주택 예비입주자 모집이 전국 16개 시·도에서 동시에 시작되었으며, 경기도 오산시를 포함한 경기 남부권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번 모집은 세대 구성과 소득 수준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되며, 최대 시세 20%~80% 수준의 임대료로 최대 20년까지 안정적인 주거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할 만합니다.
본 글에서는 입주 유형별 자격조건, 임대조건, 신청 일정 및 방법 등을 상세히 안내해드리니, 꼭 끝까지 확인해보세요.
LH 청약플러스 누리집👉
✅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 Ⅰ유형



도심 속 안정된 보금자리, 시세 30~40%로 거주
Ⅰ유형은 LH가 도심 내 주택을 직접 매입해 공급하는 방식으로, 신혼부부와 신생아 가구가 주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시세 대비 30~40% 수준의 낮은 임대료로 제공되며, 소득이 낮은 계층의 경우 시세 20% 수준으로 추가 감면 혜택도 받을 수 있어요.
📌 입주 자격
- 무주택세대 구성원
- 아래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신청 가능
①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
② 예비 신혼부부 (입주 전까지 혼인 예정)
③ 만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한부모가족
④ 유자녀 혼인가구 - 소득 기준
-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70% 이하
- 배우자도 소득이 있는 경우 90% 이하
- 자산 기준
- 총자산: 33,700만 원 이하
- 자동차: 3,803만 원 이하
📌 임대 조건 및 거주 기간
-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 시세의 30~40%
- 수급자·차상위·한부모가족: 시세의 20%
- 임대 기간: 기본 2년 + 재계약 9회 가능
→ 최장 20년까지 거주 가능
참고: 2024년도 도시근로자 기준 월평균 소득 (70%, 90%)
1인 가구 | 3,238,348원 | 3,957,980원 |
2인 가구 | 4,381,602원 | 5,477,003원 |
3인 가구 | 5,338,881원 | 6,864,276원 |
4인 가구 | 6,004,662원 | 7,720,279원 |
5인 가구 | 6,321,734원 | 8,127,943원 |
6인 가구 | 6,813,160원 | 8,759,777원 |
✅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 Ⅱ유형 (전세형)



준전세형, 시세 70~80%로 부담 덜기
Ⅱ유형은 전세에 가까운 ‘준전세형’으로, 보증금 위주의 구조로 설계되어 목돈이 있는 신혼부부에게 적합합니다. 시세 70~80% 수준으로 공급되며, 소득 범위가 다소 넓은 점도 장점입니다.
📌 입주 자격
- 무주택세대 구성원
- 아래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신청 가능
①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
② 예비 신혼부부
③ 만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한부모가족 - 소득 기준
-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130% 이하
- 부부 모두 소득이 있는 경우 200% 이하
- 자산 기준
- 총자산: 35,400만 원 이하
- 총자산: 35,400만 원 이하
📌 임대 조건 및 거주 기간
-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 시세의 70~80%
- 수급자·차상위 등: 시세의 70%
- 기타 일반 소득자: 시세의 80%
- 임대 기간: 기본 2년 + 재계약 4회 가능
- 최장 10년 거주 가능
- 자녀가 있는 경우 2회 추가 연장 가능 → 최장 14년까지 거주 가능
참고: 2024년도 도시근로자 기준 월평균 소득 (130%, 200%)
1인 가구 | 5,397,246원 | 7,915,961원 |
2인 가구 | 7,667,804원 | 11,501,706원 |
3인 가구 | 9,915,065원 | 15,253,946원 |
4인 가구 | 11,151,514원 | 17,156,176원 |
5인 가구 | 11,740,362원 | 18,062,096원 |
6인 가구 | 12,653,012원 | 19,466,172원 |
✅ 청년 매입임대주택
2030세대를 위한 시세 40~50% 매입임대주택



LH가 매입한 주택을 만 19세 39세의 청년, 대학생, 취업준비생에게 시세 대비 40~50% 낮은 임대료로 공급하는 제도입니다. 기본 2년 계약이며, 재계약을 통해 최장 10년, 결혼 시 최장 20년까지 거주가 가능해 장기 거주 안정성도 보장됩니다.
📌 입주 자격
공고일 기준 무주택자이면서 미혼 청년으로, 아래 중 하나에 해당하면 신청 가능:
- 만 19세 이상 ~ 39세 이하 (1985. 3. 28. ~ 2006. 3. 27. 출생자)
- 대학생 (입학 또는 복학 예정자 포함)
- 취업 준비생 (졸업 또는 중퇴 후 2년 이내)
순위별 소득 및 자산 기준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 1순위
-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차상위계층, 지원대상 한부모가족
🥈 2순위
- 본인 및 부모의 월평균 소득이 도시근로자 가구 평균소득 100% 이하
- 자산: 33,700만 원 이하
- 자동차: 3,803만 원 이하
🥉 3순위
- 본인의 월평균 소득이 1인 가구 기준 100% 이하
- 자산: 25,400만 원 이하
- 자동차: 3,803만 원 이하
✅ 임대 조건 및 거주 기간


- 임대료: 시세 40~50% 수준
- 수급자 등: 40%
- 일반 청년: 50%
- 임대 기간: 기본 2년 + 재계약 4회 → 최장 10년 거주 가능
- 입주 후 혼인 시 5회 추가 → 최장 20년까지 거주 가능
참고: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
1인 가구 | 4,317,797원 |
2인 가구 | 6,024,703원 |
3인 가구 | 7,626,973원 |
모집 일정 및 신청 방법



신청 기간
- 청약 신청 기간: 2025. 4. 7.(월) 오전 10시 ~ 4. 9.(수) 오후 4시
- 서류 접수 기간 (대상자에 한해): 2025. 4. 14.(월) 오전 10시 ~ 4. 16.(수) 오후 4시
- 예비입주자 발표 예정일: 2025. 6. 13.(금)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LH 청약플러스 누리집👉
- 모바일 앱: ‘LH청약플러스’ 앱 다운로드 후 접수 가능
신청 경로: LH청약플러스 → 청약 → 임대주택 → 청약신청 → 매입임대 / 전세임대
꼭 확인해야 할 점



- 모집공고문에 명시된 자산 및 소득 기준표, 우선순위 기준, 지역별 공급 물량을 꼼꼼히 확인할 것
- 신청 후 서류제출 대상자로 선정되면 기한 내 반드시 증빙서류 제출 필수
- 예비입주자로 선정되어도 실제 입주까지는 시일이 걸릴 수 있음에 유의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예비 신혼부부도 신청 가능한가요?
A. 네, 가능합니다. 단, 입주 전까지 혼인신고가 완료되어야 최종 입주가 확정됩니다.
Q2. 청년 유형에 지원했는데 중간에 결혼하면 퇴거해야 하나요?
A. 아닙니다. 오히려 결혼 후에도 재계약 횟수가 추가되어 최장 20년까지 거주가 가능합니다.
Q3. 자녀가 있는 경우 거주 기간이 더 길어지나요?
A. 맞습니다. 특히 신혼Ⅱ유형은 자녀가 있는 경우 재계약 2회가 추가로 가능해 최장 14년까지 거주할 수 있습니다.
Q4. 전세금 마련이 어려운데 보증금도 대출 지원이 있나요?
A. 네. 일부 유형에서는 보증금 대출 상품 연계가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LH 고객센터 또는 해당 공고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Q5. 모집물량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A. LH청약플러스 공고문 또는 각 지자체 및 LH 홈페이지에서 지역별 상세 물량 확인이 가능합니다.
마무리하며
2025년의 시작을 안정된 보금자리에서!
정부 지원 매입임대주택은 저렴한 임대료와 장기 거주 안정성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
이번 1차 모집을 통해 신혼부부, 신생아 가정, 청년 모두 살기 좋은 집, 걱정 없는 미래를 준비해보세요.
👉 더 많은 주거복지 정보는 수익형 블로그에서 계속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이웃 추가 및 알림 설정, 놓치지 마세요!
2025년 청년내일 채움공제, 지원 대상부터 신청 방법까지
2025 청년내일 채움공제 최신 정보! 지원 대상, 혜택, 신청 방법, 만기금 수령 조건까지 실속 있는 정보를 한눈에 확인하세요. 취업을 준비하거나 중소기업에 막 입사한 청년이라면 꼭 알아
rindini3.tistory.com
2025 청년 지원금 총정리! 신청 방법부터 지급 일정까지 정리한 필독 가이드
2025 청년 지원금 최신 정보! 다양한 정부 혜택부터 신청 자격, 방법, 지급 일정까지 꼼꼼히 정리한 필독 가이드입니다. 청년들을 위한 정부의 다양한 지원금 제도가 2025년에도 한층 강화되
rindini3.tistory.com
2025년 교육급여 총정리! 지원 대상, 신청 방법, 지급 금액까지 한눈에 정리!
2025년 교육급여, 꼭 챙겨야 할 지원금! 신청 대상부터 금액까지, 부모님과 학생이 놓치면 손해인 핵심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정부는 저소득층 가정의 교육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교육급여
rindini3.tistory.com
2025년 최신 육아휴직 급여 신청 방법 및 꿀팁 완벽 정리!
2025년 육아휴직 급여 신청 방법부터 한부모·배우자 보너스제, 근로시간 단축 지원까지! 최신 정책과 꿀팁을 한눈에 확인하세요 1. 육아휴직 급여란? 육아휴직 급여는 만 8세 이하 또는 초
rindini3.tistory.com